위스키는 더 마시고, 와인은 덜 마시고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위스키의 인기는 실제 늘어난 수입량으로도 입증됐다.

23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10월 스카치·버번·라이 등 위스키류 수입량은 2만6천937t(톤)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6.8% 늘었다. 10개월 수입량이 역대 연간 최대치인 2002년(2만7천379t) 수준에 육박해 최대 수입 기록을 경신할 전망이다. 위스키 수입량은 2021년 1만5천662t에서 지난해 2만7천38t으로 72.6% 급증했고 올해는 사상 처음으로 3만t 선을 웃돌 것으로 보인다.

위스키 수입의 일등공신으로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 위스키 칵테일의 일종인 ‘하이볼’을 꼽을 수 있다. 하이볼이 일반 음식점의 보편적인 메뉴로 확산되면서 위스키의 대중화를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위스키에 토닉워터나 탄산수, 레몬 등을 첨가한 하이볼의 경우 고급 위스키보다는 중저가 제품이 활용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올해 1~10월 위스키 수입량은 지난해 동기 대비 26.8% 늘었지만, 수입액은 2억2천146만달러로 1.5% 증가하는 수준이었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위스키가 많이 들어온 것이다.

올해 1~10월의 위스키 수입량을 수입국별로 보면 영국이 2만1천698t으로 전체의 80.6%를 차지했으며, 영국 다음으로는 미국(3천161t), 일본(1천43t), 아일랜드(616t) 등 순이었다.

반면 올해 와인 수입량은 줄었다. 올해 1∼10월 와인 수입량은 4만7천500t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8.8% 줄었고 수입액은 4억2천678만달러로 11.6% 감소했다. 2년 연속 감소다.

와인은 코로나 팬데믹 당시 집에서 술을 마시는 수요가 증가하며 2019년 4만3천495t에서 2020년 5만4천127t으로 늘어난 데 이어 2021년 7만6천575t으로 급증했으나 지난해 엔데믹 이후 감소세로 돌아서 7만1천20t으로 소폭 줄어들었고 올해 더 감소했다.

와인 수입량 감소 폭은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인 2019년(-20.1%) 이후 가장 컸고 수입액이 줄어든 것은 2009년(-32.5%) 이후 처음이다.

올해 1∼10월 와인 수입량을 수입국별로 보면 스페인이 1만386t으로 21.9%를 차지해 가장 많고 칠레(8천595t), 프랑스(8천532t), 이탈리아(7천18t), 미국(4천642t), 호주(3천50t) 등 순이었다. 반면 수입액은 프랑스가 1억7천212만달러(40.3%)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미국(6천869만달러), 이탈리아(5천817만달러), 칠레(3천963만달러), 스페인(2천601만달러), 호주(1천832만달러) 등 순이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