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요만 진정되면 소비자, 식용유 구입 문제 없어
농식품부, 식품업계와 적극 협력 대응

전한영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이 식용유 수급상황을 브리핑하고 있다. 
전한영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이 식용유 수급상황을 브리핑하고 있다. 

해바라기유 최대 수출국인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과 최근 인도네시아의 팜유 수출 제한 등으로 ‘식용유 대란’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으나, 식용유 수급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8일 한국식품산업협회 회의실에서 권재한 식품산업정책실장 주재로 식용유 수급상황 점검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CJ제일제당, 롯데푸드, 사조대림, 농심, 오뚜기 등 5개 식용유 공급업체와 식품산업협회가 참석했으며, 업체별ㆍ유종별 식용유 국내 공급상황을 점검하고, 식용유 시장 안정화 방안을 논의했다.

현재 국내 식용유 연간 소요량은 대두유 60여만 톤, 팜유 20여만 톤 등 약 114만 톤 수준으로, 이 중 대두유 20만 톤, 옥수수유 4만 톤 등 24만 톤은 국내에서 생산하고, 나머지 90만 톤은 주로 수입 후 정제과정을 거쳐 공급하고 있다. 국내 공급사들은 운송 중인 물량을 포함해 2~4개월 가량의 재고를 안정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업소용ㆍ가정용으로 사용량이 가장 많은 대두유는 미국ㆍ아르헨티나 등 주요 수출국으로부터 차질없이 도입(연간 약 40만 톤)하고 있으며, 국내 생산(연간 약 20만 톤)을 위한 원재료인 대두 도입도 원활히 추진되고 있어 수급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또, 팜유는 최근 인도네시아 수출 제한(4.28)에도 불구하고, 국내 식품업계는 말레이시아산을 사용하기 때문에 수급에 차질이 없는 상황이며, 기존 재고 이외에 5~6월에도 평년 수준 사용량인 3만3000톤(연간 약 20만 톤 수입)을 도입 중이고, 하반기 이후 물량도 계약된 대로 정상 도입할 계획이라는 것이다.

가정용과 치킨 가맹점(프랜차이즈) 등에 주로 사용되는 카놀라유, 올리브유 등도 차질없이 수입되고 있으며, 해바라기씨유는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스페인, 아르헨티나 등 대체 공급선을 확보 중에 있다.

주요 수요처별로는 라면ㆍ제과ㆍ제빵 등 식품공장용 물량이나, 가정용 소포장 물량(1ℓ 이하)은 예년보다 수요업체 발주량에 큰 차이가 없으나, 유통대리점을 통해 공급되는 업소용 캔식용유(18ℓ), 가정용 대용량(1.8ℓ) 주문량이 최근 많이 늘어난 상황이다.

이는 우크라이나 사태와 인도네시아 팜유 수출 제한 등의 영향으로 식용유 가격 상승을 우려한 가수요가 일부 유통망에서 발생하는데 기인한다는 것이 공급사 관계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또, 공급사 관계자들은 국내 식용유 공급에는 문제가 없는 만큼 일부 가수요만 진정되면 우려하는 소비자들의 식용유 구입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적으며, 현재 시점에서 식용유 공급가격 인상계획은 없다는 점을 밝혔다.

농식품부 권재한 식품산업정책실장은 “식용유 공급 문제는 치킨집ㆍ중국음식점ㆍ전집 등 중소외식업체, 소상공인의 생계 안정과 직결되는 만큼 정부와 기업이 적극 협력해 식용유 수급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가격 불안 심리로 인해 필요 이상 미리 구매하는 상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민관 수급 점검을 주 1회 이상 정례화해 정확한 수급 정보를 제공하는 등 공급망 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식용유 국제가격 상승에 따른 업계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식용유 수입 관련 품목의 할당관세 등 지원방안을 적극 발굴ㆍ추진하고, 대형마트 등 유통업체와도 공급망 안정화 방안을 협의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중간 유통상 등의 유통 교란 행위가 나타날 가능성에 대비해 각 기업 차원에서 발주상황 등을 적극적으로 점검하고, 기업과 협력관계를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식품저널 foodnews를 만나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